Posted by youshi 기타등등 : 2014. 12. 21. 05:38

밀리언은 백만, 빌리언은 10억, 트릴리언은 1


일(一)             [ 0] 1

십(十)             [ 1] 10

백(百)             [ 2] 100

천(千)             [ 3] 1000

만(萬)             [ 4] 10000

--- 이 밑으로는 십 단위가 아닌, 만 단위로 증가 ----

억(億)             [ 8] 100 000 000

조(兆)             [12] 1 000 000 000 000

경(京)             [16] 1 0000 0000 0000 0000

해(垓)             [20] 1 0000 0000 0000 0000 0000

자(秭)             [24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양(穰)             [28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구(溝)             [32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간(澗)             [36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정(正)             [40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재(載)             [44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극(極)             [48] 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

항하사(恒河沙)     [52]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

아승기(阿僧祇)     [56]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

나유타(那由他)     [60]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 .

불가사의(不可思議) [64]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 


무량대수(無量大數) [68]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그 수를 셀 수 없다는 의미.


무량대수(無量大數)란 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 의 단위이다.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가장 그 값이 큰 단위이기도 하다.

무량대수는 시대와 사람에 따라 가리키는 값이 다르다. 일반적으로는 10의 68제곱(1068)을 가리키지만, 10의 88제곱(1088), 10의 128제곱(10128)을 가리키기도 한다. 일본의 진겁기(塵劫記)의 판을 거듭하면서 무량과 대수 사이의 흠집이 난 것을 무량과 대수로 나누고, 대수는 이 수보다 10000배 더 큰 10의 72제곱(1072)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되었으나 원래 같은 숫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. 원래 우리나라에서는 무량수(無量數)로 나타내었으나 일본식 명수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.[1] 아래의 표에서 이만체진(以萬遞進), 이억체진(以億遞進)은 단위가 얼마마다 바뀌는지 나타낸 것으로 만 단위로 바뀌면 이만체진, 억 단위로 바뀌면 이억체진이다.


아승기(阿僧祇)는 불경 ‘화엄경’에서 나온 산스크리트어 asanga(또는 아산키야 asamkhya)를 음역한 말로 승기아승기야(阿僧祇耶)라고도 한다. 무수겁(無數劫),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시간을 뜻한다. 수리적으로는 1056을 뜻한다. ‘화엄경’에서 큰 수를 120 가지 말하는데, 그 가운데 103 번째에 해당한다.


불가사의(不可思議)는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이다. 본래 불교에서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 없는 오묘한 이치 또는 가르침을 뜻하며,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놀라운 상태를 일컫기도 한다.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그 값이 무량대수보다 적은 수이기도 하다. 수리적으로는 1064을 뜻한다.


나유타(那由他)는 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 의 단위 중 하나이다. 나유다(那由多), 나유(那由), 나술(那述)이라고도 한다. 일반적으로 1060을 가리키며, 1072로 쓰는 경우도 있다.

나유타는 산스크리트어로 '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수' 라는 뜻이다. 갠지스강의 모래알 수라고 한다.


10n한자십진수
1068무량대수無量大數1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64불가사의不可思議1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60나유타那由他1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56아승기阿僧祇1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52항하사恒河沙1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481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441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401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361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321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281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241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
1020100,000,000,000,000,000,000
101610,000,000,000,000,000
10121,000,000,000,000
108100,000,000
10410,000
1031,000
102100
10110
1001
10-10.1
10-2厘,釐0.01
10-3모, 호毛,毫0.001
10-40.0001
10-50.00001
10-60.000001
10-70.0000001
10-80.00000001
10-90.000000001
10-100.0000000001
10-110.00000000001
10-120.000000000001
10-13모호模糊0.0000000000001
10-14준순逡巡0.00000000000001
10-15수유須臾0.000000000000001
10-16순식瞬息0.0000000000000001
10-17탄지彈指0.00000000000000001
10-18찰나刹那0.000000000000000001
10-19육덕六德0.0000000000000000001
10-20허공虛空0.00000000000000000001
10-21청정淸淨0.000000000000000000001


위키백과의 수